반응형 硏究篇---綜合文學168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한무동명기》자서<漢武洞冥記自序> 중국 고대소설 서발문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한무동명기》자서 와호장룡 《한무동명기》자서 궈셴郭憲[1] 【原文】 憲家世述道書[2],推求先聖往賢之所撰集,不可窮盡,千室不能藏,萬乘[3]不能載,猶有漏逸。或言浮誕,非政聲[4]所同,經文史官記事,故略而不取。蓋僞國[5]殊方[6],幷不在錄。愚謂古曩[7]餘事,不可得而棄,況漢武帝明俊特異之主,東方朔[8]因滑稽浮誕以匡諫[9],洞心[10]于道敎[11],使冥迹[12]之奧,昭然顯著,今藉舊史之所不載者,聊以聞見,撰《洞冥記》四卷,成一家之書,庶明博君子,該[13]而異焉。武帝以欲窮神仙之事。故絶域遐方[14],貢其珍異奇物及道術之人,故于漢世,盛于君主也,故編次之云爾。東漢郭憲序。 【우리말 옮김】 우리 집안에서는 대대로 도가의 서적들을 기술하되, 옛 성인과 현인들이 기록한 것을 찾고 구하였으.. 硏究篇---綜合文學 2023. 3. 6.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수신기》서 <搜神記序> 중국 고대소설 서발문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수신기》서 와호장룡 《수신기》서 간바오干寶[1] 【原文】 雖考先志于載籍,收遺逸于當時[2],蓋非一耳一目之所親聞睹也,亦安敢謂無實者哉!衛朔失國,二《傳》互其所聞[3];呂望事周,子長存其兩說[4],若此比類,往往有焉。從此觀之,聞見之難一,由來尙矣。夫書赴告之定辭[5],据國史之方策[6],猶尙若玆,況仰述千載之前,記殊俗之表,綴片言于殘缺,訪行事于故老,將使事不二迹,言無異途,然後爲信者,固亦前史之所病。然而國家不廢注記之官[7],學士不絶誦覽之業,豈不以其所失者小,所存者大乎! 今之所集,設有承于前載者,則非余之罪也。若使采訪近世之事,苟有虛錯,愿與先賢前儒分其譏謗。及其著述,亦足以明神道之不誣也[8]。群言百家不可勝覽,耳目所受不可勝載,今粗取足以演八略之旨[9],成其微說而已。幸將來好事之士錄其根體,有.. 硏究篇---綜合文學 2023. 3. 5.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신선전》자서 <神仙傳自序> 중국 고대소설 서발문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신선전》자서 와호장룡 《신선전》자서 거훙葛洪[1] 【原文】 予著[2],論神仙之事,凡二十卷。 弟子滕昇問曰[3]:先生云,仙化可得,不死可學,古之得仙者,豈有其人乎? 予答曰:秦大夫阮倉所記有數百人[4],劉向所撰[5],又七十餘人,然神仙幽隱,與世異流,世之所聞者,猶千不得一者也。故寧子入火而陵烟[6],馬皇見迎於護龍[7];方回變化於雲母[8],赤將茹葩以隨風[9],涓子餌術以著經[10],嘯父別火於無窮[11];務光游淵以哺薤[12],仇生却老以食松[13];邛疏煮石以煉形[14],琴高乘鯉於碣中[15];桂父改色以龜腦[16],女幾七十以增容[17];陵陽呑五脂以登高[18],商邱咀菖蒲以無終[19],雨師煉五色以屬天[20],子先轡兩虯於玄塗[21];周晋跨素鶴於緱氏[22],軒轅控飛龍於鼎湖[2.. 硏究篇---綜合文學 2023. 3. 4.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주《산해경》서<注山海經序> 중국 고대소설 서발문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주《산해경》서 와호장룡 주《산해경》서 궈푸郭璞[1] 【原文】 世之覽《山海經》[2]者,皆以其閎誕迂夸[3],多奇怪俶儅[4]之言,莫不疑焉。 嘗試論之曰:莊生有云:人之所知,莫若其所不知。5)[5]吾于《山海經》見之矣。夫以宇宙之廖廓[6],群生[7]之紛紜,陰陽[8]之煦蒸[9],萬殊[10]之區分,精氣[11]渾淆[12],自相濆薄[13],游魂靈怪,觸象而構,流形[14]于山川,麗狀[15]于木石者,惡可勝言乎?然則總其所以乖[16],鼓[17]之于一響,成其所以變,混之于一象。世之所謂異,未知其所以異,世之所謂不異,未知其所以不異。何者?物不自異,待我以後異,異果在我,非物異也。故胡人[18]見布而疑黂[19],越人[20]見罽[21]而駭毳[22]。夫玩所習見,而奇所希聞,此人情之常蔽也。今略擧可以明.. 硏究篇---綜合文學 2023. 3. 3.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신론新論 중국 고대소설 서발문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신론新論 와호장룡 신론新論 환탄桓譚1) 【原文】 若其小說家,合叢殘小語2),近取譬論3),以作短書4),治身理家,有可觀之辭。 【우리말 옮김】 소설가와 같은 무리들은 자질구레하고 짧은 말들을 모아, 가까운 것에서 비유적인 표현을 취해 짧은 글을 만들었으니, 자기 한 몸을 수양하고 집안을 건사하는 데 볼 만한 말이 있었다. 【해설】 중국 고대 문헌에서 ‘소설小說’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장자莊子』「외물外物」 편이다. “하찮은 의견을 치장하여 높은 명성과 훌륭한 명예를 얻으려 한다면, 그것은 크게 통달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일이 될 것이다.飾小說以干縣令, 其于大達亦遠矣.”5) 여기에서 말한 “하찮은 의견小說”은 그다지 가치가 없는 말, 하찮은 도리.. 硏究篇---綜合文學 2023. 3. 1.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4-중화中華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4-중화中華 김택규 중화中華 ‘중화’는 ‘중국’과 ‘화하’를 결합한 약칭이다. ‘화華’는 ‘화花’와 같고 문화의 찬란함을 비유적으로 가리킨다. 화하의 선조는 황하 중하류에 나라를 세우고 스스로 천하의 한가운데에서 발달된 문화를 누리며 살아간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스스로 ‘중화’라고 칭했다. 나중에 화하족 중심의 다민족국가가 부단히 확장되면서 관할 영토를 다 ‘중화’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리고 근현대 역사에서 ‘중화’는 중국, 중국인, 중국 문화를 가리키는 일종의 기호이다. 예) 중화는 곧 중국이다. 직접 왕도의 교화를 받아 자연스레 중국에 속하게 되었는데 복장은 엄숙하고, 풍속은 효도와 우애를 중시하고, 처세는 예의를 추구하니, 그래서 중화라고 부른다. 中華者, ..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8.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3-은수隱秀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3-은수隱秀 김택규 은수隱秀 시와 산문은 풍부한 생각과 감정을 은밀히 담고 있으며 빼어난 명언과 문장도 갖추고 있다는 뜻이다. 《문심조룡》의 편명에서 나왔으며 그 편에서 ‘은’은 일의 서술이나 경치의 묘사가 일, 경치 밖의 의미를 은밀히 담고 독자들에게 무한한 연상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가리킨다. 그리고 ‘수’는 한 편의 글에서 그 글의 의미를 두드러지게 하는 절묘한 단어와 문장을 가리킨다. 이 두 가지는 불가분의 관계로서 함께 우수한 문학 작품의 심미적 특징을 구성한다. 훗날 시문 쓰기의 한 수사법이 되기도 했다. 예) 그래서 우수한 글은 ‘수’와 ‘은’을 겸비해야 한다. 이른바 ‘은’은 글에서 언어 밖에 숨겨진 겹겹의 함의를 뜻하고, 이른바 ‘수’는 주제를 드러..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7.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2-흥관군원興觀群怨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2-흥관군원興觀群怨 김택규 흥관군원興觀群怨 공자가 제시한 《시경》의 4가지 주요 기능으로 문학의 기본 기능과 가치에 대한 고도의 개괄이기도 하다. ‘흥’은 작품 감상 과정에서 연상을 일으킴으로써 사회와 인생에 대한 감상자의 사고와 흥취를 자극해 끌어올리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관’은 작품을 통해 자연과 사회, 인생의 각종 상황들을 인식하고 정치의 득실을 꿰뚫어보게 하는 것이다. 이어서 ‘군’은 작품을 놓고서 다른 사람과 논의하여 사상, 감정을 교류하게 하는 것이며, ‘원’은 사회 상황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여 마음속 감정을 털어놓게 하는 것이다. 이 4가지 기능은 내적으로 연결돼 있으며 문학의 미학적 기능, 인식적 기능, 교육적 기능과 관련이 있다. 후대의 학자들..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6.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1-무위無爲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1-무위無爲 김택규 무위無爲 ‘위爲’의 어떤 상태. 도가는 ‘유위有爲’와 ‘무위’를 대립시켰다. 이른바 ‘유위’는 일반적으로 통치자가 자신의 의지를 타인이나 세상에 강제하여 만물의 본성을 존중하지 않거나 그것에 순응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무위’의 의미는 이와 정반대로서 3가지 요점을 포함한다. 첫째, 권력이 자기절제의 방식으로 간섭의 욕망을 억제하는 것이다. 둘째, 만물이나 백성의 본성에 순응하는 것이다. 셋째, 만물이나 백성의 자주성을 발휘하게 하는 것이다. ‘무위’는 결코 행동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더 지혜로운 행동의 방식이다. 무위를 통해 어떤 행동의 결과에도 다 이를 수 있다. 예) 성인은 무위의 방식으로 세상일을 처리하고 무언의 방식으로 백성을 가르..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5.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0-위정이덕爲政以德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0-위정이덕爲政以德 김택규 위정이덕爲政以德 도덕적 원칙으로 국정을 관장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말한다. 공자는 서주의 통치자들이 줄곧 계승했던, “덕을 밝히고 벌은 신중히 가한다”(明德愼罰)는 원칙을 기초로 후대 유가가 신봉한 ‘덕정德政’의 이념을 제시했다. ‘덕정’은 ‘위력과 형벌’(威刑)과 대립된다. 그러나 ‘위정이덕’은 결코 형법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에 대한 도덕의 결정적인 작용을 강조하고 도덕적 교화가 치국의 근본 원칙이자 방법이라고 주장하는 것일 뿐이다. 예) 도덕적 교화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마치 북극성이 하늘의 일정한 방향에 있고 뭇별이 그 주위를 도는 것과 같다. 爲政以德, 譬如北辰居其所, 而衆星共之. (《논어·위정爲政》) 문명文明 사회..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4.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9-시언지詩言志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9-시언지詩言志 김택규 시언지詩言志 시는 작가의 마음속 뜻을 표현한다. ‘지’는 시에 표현된 작가의 마음속 지향, 생각, 감정적 요소를 가리킨다. 유가 경전인 《상서·요전》에서 제일 먼저 출현한 ‘시언지’는 중국 시론 ‘최초의 강령’(주쯔칭朱自淸)으로서 역대 시론가들의 해석을 거치며 내포 의미가 계속 풍부해졌고 그럼으로써 문학의 특징에 관한 중국 비평의 기본 관념을 확립했다. 예) 시詩는 마음속 뜻을 표현하는 것이고 가歌는 말로 노래 부르는 것이다. 詩言志, 歌永言. (《상서·요전堯典》) 시는 마음속 뜻에서 생겨나는데 마음속 뜻에서 형성된 말이 시이다. 詩者, 志之所之也, 在心爲志, 發言爲詩. (《시대서》) 시연정詩緣情 시는 시인의 마음속 감정에서 연유한다. 서진의..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3.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8-사직社稷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8-사직社稷 김택규 사직社稷 고대의 제왕, 제후가 제사를 지냈던 토지의 신과 오곡의 신이다. ‘사’는 토지의 신이고 ‘직’은 오곡의 신이다. 토지의 신과 오곡의 신은 농업을 근본으로 삼았던 한족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원시 숭배물이다. 고대의 군주는 나라의 태평과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기 위해 매년 토지의 신과 오곡의 신에게 제사를 올렸다. 그래서 ‘사직’은 국가와 정권의 상징이 되었다. 예) 천자는 왜 토지의 신과 오곡의 신을 숭배하는가? 천하의 백성들이 신에게 복을 빌고 신의 공덕에 보답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토지가 없으면 사람이 생존할 수 없고 오곡이 없으면 사람이 먹을 것이 없다. 그리고 토지가 넓어서 모두가 공경할 수 없고 오곡이 많아서 모두가 제사지낼 수 ..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2.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