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등용2 이지李贄-분서焚書 유헌장에게 답하다答劉憲長 PHILOSOPHY焚書 이지李贄-분서焚書 유헌장에게 답하다答劉憲長 팔보 유헌장에게 답하다答劉憲長 공자(孔子) 이후 공자를 배운 사람들은 사도(師道)를 자임하곤 했습니다. 그리하여 하루라도 남의 제자가 된 적이 없이, 종신토록 남의 스승 노릇을 하면서, 그것이 바로 공자의 가법(家法)이며 그렇지 않으면 공자처럼 될 수 없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일단 남의 스승이 되면, 오직 내가 남을 가르치는 것만 있을 뿐, 나를 가르치려고 하는 사람은 없다는 것을 모릅니다. 공자 이전에 어찌 성인이 없었겠습니까? 요컨대 그들은 모두 밝은 시절을 만나서 지위를 얻고 뜻을 행할 수 있었습니다. 불우했던 때가 있었다면, 태공(太公)이 80세 되기 전이나 부열(傅說)이 담장을 쌓기 전같은 경우입니다. 만약 태공이 문왕(文王)을 만.. 硏究篇---綜合文學 2023. 3. 31. 이지李贄-분서焚書 다시 주남사에게 답하다復周南士 PHILOSOPHY焚書 이지李贄-분서焚書 다시 주남사에게 답하다復周南士 팔보 다시 주남사에게 답하다復周南士 그대는 뛰어난 재능을 지니고 있는 한창 나이의 사람입니다. 박옥(璞玉)을 지니고 있으면서 아직 시험을 해보지 않은 사람입니다. 나같은 사람은 본래 쓸 만한 재능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세상에 쓰이지 않는 것이 당연합니다. 어찌 구름이나 학과 함께 어울리는 은자(隱者)의 부류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매우 부끄러울 뿐입니다. 세상에서 재능있는 사람을 얻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재난’(才難)1이란 말이 있는 것입니다. 걸맞는 재능은 없으면서 헛되이 명성만 있다면 마치 은중군(殷中軍)이 죽마고우 관계라는 이유로 대사마(大司馬)와 어깨를 나란히 하여 스스로 왕(王)․사(謝)의 관계와 견주려고 했던 것과.. 硏究篇---綜合文學 2023. 3. 26.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