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三大敎---東洋敎理8 아상(我相) 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 수자상(壽者相) 아상(我相) 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 수자상(壽者相) 불교에서 ‘相( pali. sañña, skt. saṃjñā)’이란 말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불경에서 ‘상에 얽매이다’, ‘상에 집착하다’, ‘상을 여의라’ 등의 용어가 자주 나옵니다. 불교에 있어서 ‘性’이란 불변의 본체를 말하는 데 비해, ‘相’이란 변화하고 차별로 나타난 현상계의 모습을 말합니다.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일종의 固定觀念이라 할 수 있는데, 불교에서는 이 고정관념이 갖가지 왜곡을 일으키므로 이것을 갈등과 번뇌의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무의식 속의 고정관념을 내려놓는 순간 불성을 바로 볼 수 있다고 해서 에는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라고 합니다. 그런 ‘相’이 중국에서 한자로 번역되기 전의 어원인 산스크리트어에는 sam.. 三大敎---東洋敎理 2024. 7. 22. 아상 (我相) 아상 (我相) 불교 개념 실체적인 자아가 있다는 그릇된 관념을 의미하는 불교교리. 아견 · 아집 · 아만 · 아상 · 아인상 · 인상. 이칭아견(我見), 아집(我執), 아만(我慢), 아상(我想), 아인상(我人相), 인상(人相) 정의실체적인 자아가 있다는 그릇된 관념을 의미하는 불교교리. 아견 · 아집 · 아만 · 아상 · 아인상 · 인상. 개설아상이란 나에 대한 관념과 이를 중심으로 형성된 일련의 관념을 말한다. 아상에 해당하는 산스크리트어는 ‘자아의 관념’을 뜻하는 ātma-saṃjñā, ātma-lakṣaṇa인데, 유사하거나 동일한 개념으로서 아견(我見, ātma-dṛṣṭi), 아집(我執, ātma-grāha), 아만(我慢, ātma-māna), 아상(我想, ātma-saṃjñā), 아인상(我人相, .. 三大敎---東洋敎理 2024. 7. 21. 관상불여심상(觀相不如心相) 관상불여심상(觀相不如心相) 관상(觀相). 한 사람의 겉으로 드러난 얼굴 생김새 또는 그 생김새로 사람의 성격과 기질을 파악하는 점(占)을 말한다. 또 이것을 관찰하여서 사람의 운명을 판단하고 그 얻어진 결론을 가지고 추길피흉(趨吉避凶)의 방법을 강구하는 학문은 관상학이라고 한다. 동양의 관상가들은 관상학의 이대상전(二大相典)이라 불리는 마의상법(麻衣相法)과 달마상법(達磨相法)으로 공부했고 공부한다. 마의도사(麻衣道士)의 마의(麻衣)는 사시사철 늘 마로 만든 옷만 입고 살아서다. 그가 체계화 시킨 관상법이 마의상법(麻衣相法)이다. 그의 저서 마의상서(麻衣相書)에서는 사람의 얼굴에 12궁(宮)을 두고 그에 따라 상(相)을 분석한다. 인생 운명의 전반적인 부분을 여기서 찾고 분석하여 궁의 생김새에 따라 부귀빈.. 三大敎---東洋敎理 2024. 5. 31. 주역 (周易) 주역 (周易) 주역전의대전유교 문헌 3경의 하나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유교경전. 이칭역경 정의3경의 하나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유교경전. 내용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인 동시에 가장 난해한 글로 일컬어진다. 공자가 극히 진중하게 여겨 받들고 주희(朱熹)가 ‘역경(易經)’이라 이름하여 숭상한 이래로 ≪주역≫은 오경의 으뜸으로 손꼽히게 되었다. ≪주역≫은 상경(上經)·하경(下經) 및 십익(十翼)으로 구성되어 있다. 십익은 단전(彖傳) 상하, 상전(象傳) 상하, 계사전(繫辭傳) 상하, 문언전(文言傳)·설괘전(說卦傳)·서괘전(序卦傳)·잡괘전(雜卦傳) 등 10편을 말한다. 한대(漢代)의 학자 정현(鄭玄)은 “역에는 세 가지 뜻이 포함되어 있으니 이간(易簡)이 첫째요, 변역(變易)이 둘째요, 불역(不易)이 .. 三大敎---東洋敎理 2024. 5. 20. 불교 (佛敎) 불교 (佛敎) 불교 개념: 석가모니를 교조로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며 수행하는 종교. 내용 요약불교는 석가모니를 교조로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며 수행하는 종교이다. 형이상학적 문제보다는 실존에 초점을 맞추어 사람마다 다른 사회적 조건과 차이에 따라 가르침의 내용을 달리함에 따라 경전의 종류도 많다. 석가모니 입적 후 불교는 원시 불교, 부파 불교, 소승 및 대승 불교 등으로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하게 발전했고 기독교, 이슬람교와 더불어 세계 3대 종교로 자리잡았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불교를 수용하여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국가의 장려 아래 화려한 불교문화를 꽃피웠고, 조선시대 숭유억불의 수난기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의석가모니를 교조로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며 수행하는 종교. 개설부처의 가르침을 .. 三大敎---東洋敎理 2024. 5. 19. 도교(道敎) 도교(道敎) 도교(道敎, 영어: Taoism, Daoism)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중국의 민족 종교로, 신선 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 · 오행 · 복서 · 무축 · 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된 도 계통의 종교이다. 도교는 하나인 도(道)의 세 가지 모습인 옥청(玉清: 원시천존) · 상청(上清: 영보천존) · 태청(太清: 도덕천존)의 삼청(三清)을 최고신으로 하는 다신교이다. 경전으로는 도교 성전의 집성인 《도장(道藏)》이 있다. 도교의 신자를 도교인 또는 도교도라고 하며, 우화등선(羽化登仙)을 목표로 하는 무리라는 뜻에서 우류(羽流)라고 하기도 한다. 도사(道士)는 도교의 전문적 종교가이며 여성 도사는 여관(女冠)이라고 한다. 도교는 크게.. 三大敎---東洋敎理 2024. 5. 16. (불교)사상(四相)이란? (불교)사상(四相)이란? 불교 용어로서의 사상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사상(事相)은 현상계의 차별상 또는 현상계의 차별적 존재들을 말한다. 속제(俗諦) · 진소유성(盡所有性: 다함이 있는 성질) · 진소유(盡所有: 다함이 있는 것)라고도 한다. 4상(四相, 산스크리트어: catvāri lakṣaṇāni, 티베트어: mtshan nyi bzhi, 영어: four marks of existence)은 생멸(生滅)하는 존재, 보다 정확히는 생멸변천(生滅變遷)하는 존재로서의 모든 유위법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4가지 성질인 생(生) · 주(住) · 이(異) · 멸(滅) 또는 생(生) · 주(住) · 노(老) · 무상(無常)을 말한다. 《구사론》에 따르면 이 4가지 성질은 유위법으로 하여금 유위법이게 하는 유.. 三大敎---東洋敎理 2024. 5. 15. 유교(儒敎) 유교(儒敎) 유교란 무엇인가 - 최영진: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교수, 한국 동양철학회 회장, 철학박사) 1. 유교의 성립 유교는 공자(孔子, BC 552~479)가 당시까지 전승되어 온 문화와 사상을 집대성하여 체계화함으로써 성립된 것이다. ‘자기 자신을 수양함[修己]’과 ‘백성을 편안하게 다스림[治人]’을 목표로 삼고, 중용과 ‘인의예지(仁義禮智)’를 기본적인 덕목으로 삼고 있다. 경전은 『논어(論語)』 ⋅ 『맹자(孟子)』 ⋅ 『대학(大學)』 ⋅ 『중용(中庸)』 등 사서(四書)와 『시경(詩經)』 ⋅ 『서경(書經)』 ⋅ 『역경(易經)』 ⋅ 『예기(禮記)』 ⋅ 『춘추(春秋)』 등 오경(五經)이다. 유교 형성의 연원은 공자 이전으로 소급된다. 이 점은 『중용』의 “공자는 요순(堯舜)을 조종으로 이어받으시.. 三大敎---東洋敎理 2024. 5. 10.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