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자2 대하소설 / 임꺽정 양반편3 - 홍명희 대하소설 임꺽정 양반편3 - 홍명희 임꺽정 3: 양반편 | 홍명희 - 모바일교보문고 제 3장 익명서 1 살육이 난 뒤에 이 년이 채 지나지 못한 때다. 당시 부제학 벼슬을 가지고 있던 정언각이란 자가 전라도로 가는 딸자식을 전송하여 과천 양재역말까지 나갔다가 들어와서 익명서 한 장을 봉하여 위에 바치며 아뢰는 말이 "양재역말에 익명서 한 장이 붙어 있삽는데 국가에 관계되는 말씀이옵기에 도려다가 바치옵나이다. " 대왕대비가 정언각의 올리는 익명서 봉을 뜯고 펴서 보니 "여자가 정사를 알음하고 간신이 권세를 농락하니 나라 망할 것은 서서 기다릴 수 있다. 이것이 어찌 한심한 일이 아니랴. " 하고 주서로 쓴 것이었다. 대왕대비가 화가 나서 즉시로 삼공 이하 중신을 불러들이어 익명서 처치할 도리를 의논하라고 .. 千里眼---名作評論 2023. 11. 26.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9 극성법極省法 중국 고대소설 예술 기법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9 극성법極省法 왕초 극성법極省法 【정의】 ‘극성법’은 함축과 절약의 기법으로 경제적인 서술 기교를 가리킨다. 이것 역시 진성탄金聖嘆의 「독제오재자서법讀第五才子書法」 가운데 하나이다. 극성법極省法이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우쑹이 양구 현陽穀縣으로 영입될 때, 공교롭게도 우다武大 역시 그곳으로 이사를 와 딱 맞닥뜨린다든지, 쑹쟝이 피파팅琵琶亭에서 어탕魚湯을 먹은 후에 연일 설사한 것과 같은 것이다. 有極省法, 如武松迎入陽穀縣, 恰遇武大也搬來, 正好撞著; 又如宋江琵琶亭喫魚湯後, 連日破腹等是也。 ‘극성법’은 앞서 ‘극불성법’에서 말했던 ‘석묵惜墨’에 해당하는데, 작품 속에서의 의의는 이것을 통해 중요한 인물과 주제 사상을 두드러지게 하는 데 있다. 곧 전형적인 인물.. 硏究篇---綜合文學 2022. 12. 21.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