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림외사3 중국 고대소설 평점 간론 – 소설평점의 형태 3 중국 고대소설 평점 간론 중국 고대소설 평점 간론 – 소설평점의 형태 3 와호장룡 3) 소설평점 형태 그 첫 번째: ‘평림(評林)’과 ‘집평(集評)’ 일종의 평점 형태로서 ‘평림’은 명대 위샹더우(余象斗)의 소설 간본에서만 보이는데, 소설평점사에서 하나의 특이한 예로, 현존하는 소설평점본은 세 가지가 있다. 《음석보유안감연의전상비평삼국지(音釋補遺按鑒演義全像批評三國志)》[만력 20년 솽펑탕(雙峰堂) 간본] 《수호지전평림(水滸志傳評林)》[만력 22년 솽펑탕(雙峰堂) 간본] 《신간경본춘추오패칠웅전상열국지전(新刊京本春秋五覇七雄全像列國志傳)》[만력 34년 싼타이관(三台館) 간본] 이상의 세 가지 간본은 《수호지전평림》이 ‘평림’이라는 두 글자를 직접 쓴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두 종은 모두 표지에, 전자의 경우 .. 硏究篇---綜合文學 2023. 1. 12. 중국 고대소설 평점 간론 – 소설평점의 변천 5 중국 고대소설 평점 간론 중국 고대소설 평점 간론 – 소설평점의 변천 5 와호장룡 5) 청 중엽 소설평점의 연속 청 중엽 이후, 소설평점은 여전히 발전의 추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이미 전 시기의 생기발랄하과 광범위한 영향은 잃어갔다. 어떤 연구자는 심지어 소설평점이 진성탄 비 《수호전》에서 장주포 비 《금병매》로 넘어가는 반세기 동안 “이미 자신의 좋은 시절은 다 보내고, 후대의 평점파는 다소 폄하하는 의미를 띤 이름이 되어버렸다.” 소설평점의 역사적 지위로 말하자면, 이 설은 일리가 있지만, 소설평점사의 각도에서 보자면, 청 중엽 이후의 소설평점은 여전히 소홀히 볼 수 없는 측면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이른바 청 중엽이란 청의 옹정(재위는 1723~1735년), 건륭(재위는 1736~1795년), 가경.. 硏究篇---綜合文學 2023. 1. 8.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2 경물영츤법景物映襯法 중국 고대소설 예술 기법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2 경물영츤법景物映襯法 와호장룡 경물영츤법景物映襯法 【정의】 ‘경물영츤법’은 간단하게 말해서 작품 속의 주변 환경 묘사를 통해 인물 형상의 성격 특징을 드러내고, 인물의 심리를 반영하는 것을 말한다. 【실례】 《유림외사》의 서두에 등장하는 왕몐王冕은 작자가 긍정적으로 그리고 있는 인물 가운데 하나인데, 그의 성격 특징을 드러내기 위해 제1회에서 왕몐이 호숫가에서 소를 먹이는 광경을 묘사했다. 한 바탕 소나기가 쓸고 지나간 뒤 호수 가 풀밭에는 청량한 기운이 가득하고 구름 사이로 햇빛이 새어 나와 호수가 붉게 물든다. 여기에 푸른 숲과 붉은 꽃이 어우러져 ‘시정화의詩情畵意’가 충만한 가운데 왕몐의 탈속한 성격 특징이 잘 드러나는 것이다. 호수 위에 피어 있는 연.. 硏究篇---綜合文學 2022. 12. 14.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