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견문2 이지李贄-분서焚書 동심설童心說 PHILOSOPHY焚書 이지李贄-분서焚書 동심설童心說 팔보 동심설童心說 용동산농(龍洞山農)은 《서상기西廂記》의 서문 말미에서 “식자(識者)들은 내가 아직 동심(童心)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하지 않길 바란다”[1]고 말했다. 그러나 동심은 ‘참된 마음’[眞心][2]이다. 만약 동심이 있으면 안된다고 하면, 이는 참된 마음이 있으면 안된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동심이란 거짓없고 순수하고 참된 것으로, 최초 일념(一念)의 ‘본심’(本心)이다. 동심을 잃으면 참된 마음을 잃는 것이며, 참된 마음을 잃으면 ‘참된 사람’[眞人]을 잃는 것이다. 사람이 참되지 않으면 최초의 본심은 더 이상 전혀 있지 않게 된다. 아이는 사람의 처음이요, 동심은 마음의 처음이다. 마음의 처음을 어찌 잃을 수 있으리오! 그런데 어.. 硏究篇---綜合文學 2023. 4. 14.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류설 類說》서序 중국 고대소설 서발문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류설 類說》서序 와호장룡 《류설 類說》서序 쩡짜오曾慥[1] 【原文】 小道可觀,聖人之訓也。余喬寓銀峰[2],居多暇日,因集百家之說,采摭事實,編纂成書,分五十卷,名日《類說》。可以資治體,助名敎,供談笑,廣見聞,如嗜常珍[3],不廢異饌[4],下筋之處[5],水陸具陳矣。覽者其詳擇焉。 紹興六年四月望日溫陵曾慥引[6]。 【우리말 옮김】 사소한 이야기라 할지라도 거기에는 반드시 볼 만한 것이 있다는 것은 성인의 가르침이다. 내가 인펑銀峰이라는 곳에 머물면서 여러 날을 한가롭게 지내며, 백가百家의 설을 모아 그 가운데 사실적인 이야기를 가려 뽑은 뒤 그것을 편찬하여 책을 만들어냈으되, 50권으로 나누고 《류설類說》이라는 제목을 붙였다. 이것으로 통치의 요체를 제공하고, 명분과.. 硏究篇---綜合文學 2023. 3. 16.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