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관중4 양산호한梁山好漢들은 왜 대부분 처자식이 없는가? 양산호한梁山好漢들은 왜 대부분 처자식이 없는가? 글: 장공성조(長空星照) 양산호한들에게는 괴이한 현상이 하나 있다. 대부분 처가 없다는 것이다. 양산박의 3대 두령은 하나같이 모두 '홀아비'이다. 탁자에 둘어앉아 의사결정을 내리는 집단의 또 다른 몇몇 인물인 노준의, 오용, 공손승등도 모두 하나같이 홀아비들이다. 송강, 노준의 그리고 임충등은 이전에 부인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여인이 죽은 후 자녀는 하나도 남기지 않았다. 그들이 다시 다른 여인을 취하지 않았으므로, 그들은 다시 단신족으로 돌아온 것이다. 화영, 주공등은 부인이 있다. 그러나 작자는 소설에서 그저 한 마디 하고 지나갔을 뿐이고, 그들의 후손에 대한 묘사는 더더욱 적다. 이들 반란을 일으킨 인물들의 나이가 모두 어려서일까? 그것도 아닌 것.. 千里眼---名作評論 2023. 6. 6. 수호지水滸志 수호지水滸志 수호전은 중국사대기서 중 하나로 인정받는 중국의 고전소설이다. 원나라 말 시내암이 원작, 그리고 삼국지연의의 작가인 나관중이 손질하여 만들어졌다는 설이 대세지만, 시내암이 실존인물이었는지 불분명하다. 2. 판본 성립사 나관중본과 모종강본으로 간단히 구분할 수 있는 삼국지연의와는 달리, 수호전의 판본 성립사는 상당히 복잡하다. 기본적으로 아래에 언급한 세 판본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밖에도 여러 판본이 있으나 듣보잡에 가깝다. 일본에서는 120회본이 수입되었기 때문에 120회본이 가장 널리 읽히지만, 중국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것은 70회본이다. • 100회본: 수호전의 가장 초기 판본으로 송나라가 요나라한테 당한 설움을 소설로나마 풀어보고자 하는 성향이 가장 강한 판본. 양산박의 두령들이 .. 千里眼---名作評論 2023. 5. 28. 이지李贄-분서焚書 충의수호전서忠義水滸傳序 PHILOSOPHY焚書 이지李贄-분서焚書 충의수호전서忠義水滸傳序 팔보 태사공(太史公) 사마천(司馬遷)은 “《한비자》(韓非子)의 (說難)⋅(孤憤)은 성현이 발분(發憤)하여 지은 것이다”[1]라고 했다. 이로써 보자면 예로부터 성현들은 발분하지 않으면 저술을 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발분하지 않았는데 저술을 하는 것은 마치 춥지도 않은데 떠는 것과 같고 병도 없는데 신음하는 것과 같다. 그러면 비록 저술을 한다 해도 무슨 볼 것이 있겠는가? 《수호전》(水滸傳)은 발분하여 지은 것이다. 송(宋)나라 왕실이 성하지 못하게 된 때로부터, 모자를 밑에 쓰고 거꾸로 신발을 위에 신은 듯, 현명한 사람들이 아랫자리에 있고 모자란 사람들이 윗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멸시하고 천대하던 이적(夷狄)이 윗자리를 차.. 硏究篇---綜合文學 2023. 4. 23. 서성의 삼국지 강의-유비의 멋진 말 2 서성의 삼국지 강의 서성의 삼국지 강의-유비의 멋진 말 2 이우재 유비의 멋진 말 2 멋진 말이란 화려하게 꾸미거나 수식한 말이 아니다. 그것은 가슴에서 직접 나오거나 무심코 진정을 드러내거나 그 사람의 인생이 한순간 언어의 형식을 빌어 나타난 말이다. 유비의 멋진 말 두번째는 “청산은 늙지 않고, 푸른 강은 언제나 있소.”(제60회)를 치고 싶다. 유비가 장송과 헤어질 때 후일을 도모하며 한 말이다. 이 말이 나는 언제나 유비의 성품을 잘 나타나는 듯해 잊혀지지 않았다. 조조가 북방을 통일하여 중원의 판도가 변하면서 익주(지금의 사천성)도 자구책을 모색하게 되는데 익주목 유장은 장송을 조조에게 보내 연합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조조는 장송의 추악한 얼굴을 보자마자 만정이 떨어져 박대하고 매질까지 하여 내.. 硏究篇---綜合文學 2023. 1. 18.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