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아2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3-은수隱秀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3-은수隱秀 김택규 은수隱秀 시와 산문은 풍부한 생각과 감정을 은밀히 담고 있으며 빼어난 명언과 문장도 갖추고 있다는 뜻이다. 《문심조룡》의 편명에서 나왔으며 그 편에서 ‘은’은 일의 서술이나 경치의 묘사가 일, 경치 밖의 의미를 은밀히 담고 독자들에게 무한한 연상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가리킨다. 그리고 ‘수’는 한 편의 글에서 그 글의 의미를 두드러지게 하는 절묘한 단어와 문장을 가리킨다. 이 두 가지는 불가분의 관계로서 함께 우수한 문학 작품의 심미적 특징을 구성한다. 훗날 시문 쓰기의 한 수사법이 되기도 했다. 예) 그래서 우수한 글은 ‘수’와 ‘은’을 겸비해야 한다. 이른바 ‘은’은 글에서 언어 밖에 숨겨진 겹겹의 함의를 뜻하고, 이른바 ‘수’는 주제를 드러..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7.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중국 고대소설 서발문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와호장룡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반구班固1) [原文】 《伊尹說》二十七篇2)(其語淺薄,似依托也。) 《鬻子說》十九篇3)(後世所加) 《周考》七十六篇4)(考周事也。) 《靑史子》五十七篇5)(古史官記事也。) 《師曠》六篇6)(見《春秋》7),其言淺薄,本與此同,似因托之。) 《務成子》十一篇8)(稱”堯問”,非古語。) 《宋子》十八篇9)(孫卿道10):”《宋子》,其言黃老意11)。”) 《天乙》三篇12)(天乙謂湯,其言非殷時,皆依托也。) 《黃帝說》四十篇13)(迂誕依托。) 《封禪方說》十八篇14)(武帝時15)。) 《待詔臣饒心術》二十五篇16)(武帝時。) 《待詔臣安成未央術》一篇17) 《臣壽周紀》七篇18)(項國圉人19),宣帝時20)。) 《虞初周說》九百四十三篇21)(河.. 硏究篇---綜合文學 2022. 10. 14.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