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평가2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홍루몽》의 특수 독자와 《홍루몽》의 해석 4-7 홍루몽과 해석방법론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홍루몽》의 특수 독자와 《홍루몽》의 해석 4-7 백운재 4. 지연재 비평의 해석 문제: 자서전설과 반(反)자서전설의 대립 2) 색은파의 반격: 색은파의 ‘수정설’과 ‘암합설’ 신홍학 연구자들 가운데 저우루창은 지연재 비평을 가장 깊이 연구했으며, 그의 결론은 자서전설과도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다만 저우루창의 결론은 학계 전체의 결론이 되지 못했고, 나중에는 오히려 자서전설을 지지하는 학자들 이외의 연구자들에게 공격을 받았다. 색은파 연구자 판중궤이(潘重規)가 바로 좋은 예이다. 저우루창의 《홍루몽 신증》(棠棣版)은 1953년에 출판되었는데, 그로부터 6년 뒤에 판중궤이가 《홍루몽 신해(新解)》를 간행했다. 거기에 들어 있는 〈지연재 비평 《홍루.. 千里眼---名作評論 2022. 12. 7.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홍루몽》의 특수 독자와 《홍루몽》의 해석 4-3 홍루몽과 해석방법론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홍루몽》의 특수 독자와 《홍루몽》의 해석 4-3 백운재 3. 신홍학 시기의 지연재 비평 연구 1) 지연재 비평의 재출현 정각본(程刻本)이 간행된 이후 세상에 유행하면서 비평은 묻히기 시작했다. 1911년에 이르러 유정서국에서 80회본 《석두기》를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비평이 붙어 있어서 지연재 비평이 다시 독자 대중 앞에 나타나게 되었다. 이 80회본 《홍루몽》의 앞쪽에는 덕청(德淸) 척료생의 서문이 있기 때문에 후스는 〈고증〉(개정판)에서 이것을 ‘척본(戚本)’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이 《석두기》의 첫머리에 실린 척료생 서문 필적과 뒤쪽 본문은 한 사람이 쓴 것이니 석인본(石印本)의 저본은 이미 척료생이 얻은 원래 필사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千里眼---名作評論 2022. 12. 3.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