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오깡2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홍루몽》의 특수 독자와 《홍루몽》의 해석 4-8 홍루몽과 해석방법론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홍루몽》의 특수 독자와 《홍루몽》의 해석 4-8 백운재 4. 지연재 비평의 해석 문제: 자서전설과 반(反)자서전설의 대립 3) ‘합전설(合傳說)’ 및 그 논증 방법 판중궤이의 ‘개작설[增刪說]’에 따르면 조설근은 《홍루몽》 ‘원본’의 작자가 아니며, 또 ‘암합설(暗合說)’에 따르면 조씨 가문의 일은 전혀 《홍루몽》의 소재가 되지 못했던 것처럼 보인다. 또 다른 연구자 우스창(吳世昌: 1908~1986)은 판중궤이처럼 조씨 가문의 일과 《홍루몽》 이야기 사이의 관계를 부정한 적이 결코 없다. 하지만 ‘가보옥이 바로 조설근’이라는 저우루창의 자서전설에 대해서는 이의를 제기했다. 저우루창과 더불어 《홍루몽》 연구에서 ‘이창(二昌)’으로 불리는 우스창이 영어로 쓴.. 千里眼---名作評論 2022. 12. 8.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홍루몽》의 특수 독자와 《홍루몽》의 해석 4-2 홍루몽과 해석방법론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홍루몽》의 특수 독자와 《홍루몽》의 해석 4-2 백운재 2. 신홍학 이전의 지연재 비평의 운명 이상의 자료에서 우리는 현대 학자들이 지연재 비평을 어느 정도 중시하는지 알 수 있다. 심지어 1930년대에 어떤 이(예를 들면 동캉[董康])는 “지연재=조설근=이홍공자(怡紅公子)”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연재 비평의 지위는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었다. 사실 1792년의 정고본(程高本)에서 지연재 비평은 거의 전부 삭제되어 버려서 몇 천 항목 가운데 겨우 몇 개만 본문 사이에 섞여들어 운 좋게 남아 있을 수 있었다. 후스와 위핑보 등도 처음에는 지연재와 지연재 비평에 대해 중시하지 않았다. 나중에는 지연재의 지위가 점차 높아져서 마침내 조설근과 대등한 위치까.. 千里眼---名作評論 2022. 12. 2.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