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태상노군2 봉신연의(封神演義) 봉신연의(封神演義) 1. 개요 중국의 고전소설(古典小說)로 명나라 때 지어졌다. 상나라의 폭군 주왕(紂王)과 그를 타도하기 위해 봉기한 주나라 무왕의 싸움을 그린 소설로, 분류로는 신마소설(神魔小說)에 속한다. 《봉신방(封神榜)》, 《상주열국전전(商周列國全傳)》 등으로도 불리며 저자는 육서성(陸西星:1520∼1605?) 또는 허중림(許仲琳)이라고 전해지나 분명하지 않다. 또한 육서성이나 허중림 본인의 순수창작보다는 송원대(宋元代)에 나온 《무왕벌주평화》(武王伐紂平話) 같은 '무왕벌주'에 대한 민담과 대본을 각색한 것에 가깝다. 상나라 후반을 배경으로 하지만 전반적인 내용은 실제 역사가 아니라, 탐관오리(貪官汚吏)들을 요괴로 풍자해 비난하는 '소설'이다(걸리버 여행기나 홍길동전 기믹). 상과 주의 싸움 속.. 千里眼---名作評論 2024. 3. 8. 『서유기』의 우주 1 -전통적 우주론의 문학적 집대성 批評서유기 다시 읽기 『서유기』의 우주 1 -전통적 우주론의 문학적 집대성 백운재 전통적 우주론의 문학적 집대성 『서유기』는 단순한 모험담이라기보다는 다분히 상징으로 치장된, 그렇기 때문에 독자의 수준에 따라서 다양할 수밖에 없는 해석의 깊이를 가진 철학서에 가깝다. 표면적으로 이 책은 승려를 중심인물로 등장시켜 온갖 고난을 극복하고 불경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언뜻 불교를 칭송하고 전파하려는 목적을 가진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실은 그 안에는 중국의 전통적인 도교와 유가의 철학이 복잡하게 얽혀 독특한 세계관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처럼 상징으로 엮인 철학서로서 이 소설에는 넓은 의미에서 우주란 무엇이고, 그 안에 사는 인간이라는 존재의 위상은 어떠하며,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무엇을 추구하며.. 千里眼---名作評論 2023. 2. 4.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