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홍루몽해석4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총괄 및 비평 5-3 홍루몽과 해석방법론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총괄 및 비평 5-3 백운재 제5장 총괄 및 비평 3. 전체적 결론 이상의 논의를 통해 이른바 ‘작자의 의도’나 ‘작자의 의의’는 종종 해석자가 구축한 것(interpreter’s constructions)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구축의 방식은 사실 그들이 채택한 해석 전략 즉 ‘전제’(또는 배경의 재건)과 ‘전경화’, ‘추방’, ‘전유’, ‘남들보다 조설근의 마음을 더 잘 알고 있음’ 등등의 수법에 의지하는 바가 컸다. 바꿔 말하자면 해석 방식은 종종 해석의 결과를 결정했다는 것이다. 리처드 팔머는 《해석학》에서 이렇게 진술했다. 사실 수단과 대상은 분리될 수 없다. 수단은 이미 우리가 보게 될 것을 제한했다. 미국의 독자 반응 비평 이론가 스탠리 피쉬.. 千里眼---名作評論 2022. 12. 12.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홍루몽》의 텍스트 지위와 해석 문제 3-7 홍루몽과 해석방법론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홍루몽》의 텍스트 지위와 해석 문제 3-7 백운재 제3장 《홍루몽》의 텍스트 지위와 해석 문제 – 관통론, 유기설, 우열론, 구조학, 탐일학(探佚學) 5. 결론: 텍스트의 특징과 구조, 잃어버린 원고의 탐색과 관련하여 근대의 《홍루몽》 판본 연구를 돌아보면 《홍루몽》의 텍스트 지위가 불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사본 시대에 필사자는 《홍루몽》의 문장을 고칠 수 있었는데, 이로 인해 판본마다 앞쪽 80회의 문장이 각기 달라졌다. 나중에도 (후스의 신홍학 이래) 어느 부분을 삭제해도 된다는 목소리가 끊어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서 논자들은 방관이 이름과 차림새를 바꾼 부분과 임사낭[林四娘] 이야기를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들과 해석 문제를 검.. 千里眼---名作評論 2022. 11. 30.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홍루몽》의 텍스트 지위와 해석 문제 3-4 홍루몽과 해석방법론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홍루몽》의 텍스트 지위와 해석 문제 3-4 백운재 제3장 《홍루몽》의 텍스트 지위와 해석 문제 – 관통론, 유기설, 우열론, 구조학, 탐일학(探佚學) 3. 앞쪽 80회의 이문(異文) 연구에 관한 각종 문제 5) 작자의 본래 의도와 텍스트의 지위 기묘본과 경진본, 척서본, 척녕본까지 네 개의 필사본에 따르면 제63회에서 가보옥은 농취암(櫳翠庵)에 답장을 보내고 바로 뒤이어 방관(芳官)의 차림새를 바꾸고 이름을 바꾸면서 가보옥이 거창한 논의를 펼치는 장면을 서술하고 있다. 중국예술연구원의 교주본(校註本)에 들어 있는 해당 부분의 문장은 다음과 같다. 방관이 머리를 감고 나서 위로 틀어올린 채 꽃을 몇 송이 꽂고 있었다. 가보옥은 얼른 머리 모양을 바꾸고 주위의 .. 千里眼---名作評論 2022. 11. 27.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홍루몽》의 텍스트 지위와 해석 문제 2 홍루몽과 해석방법론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홍루몽》의 텍스트 지위와 해석 문제 2 백운재 제3장 《홍루몽》의 텍스트 지위와 해석 문제 – 관통론, 유기설, 우열론, 구조학, 탐일학(探佚學) 2. 텍스트의 ‘관통’과 ‘내재 구조’, 그리고 ‘유기설(有機說)’ 《홍루몽》의 텍스트가 완전한지, 앞뒤가 관통되는 것인지 여부에 관한 문제 안에는 여러 가지 중요한 문학 개념이 관련되어 해석 활동을 좌우한다. 1) 뒤쪽 40회 ‘속작설(續作說)’의 제기 120회 정고본(程高本)의 안정적인 지위는 1921년에 후스가〈《홍루몽》 고증〉(개정판)을 발표한 후 위협을 받았다. 후스는 네 가지 방증을 나열하며 ‘고악 속작설’을 지지했다. 하지만 이 방증들은 결국 모두 외재적인 것으로서, 그것이 성립하는지 여부는 모두 ‘고.. 千里眼---名作評論 2022. 11. 23.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