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갑골문자2 춘하추동( 春夏秋冬)의 한자 어원 춘하추동( 春夏秋冬)의 한자 어원 ◎글자풀이: 봄 춘(春) 여름 하(夏) 가을 추(秋) 겨울 동(冬) ◎뜻풀이: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계절(季節)을 가리킨다. 자연은 춘하추동(春夏秋冬) 그 색(色)을 달리한다. 철 따라 순차적(順次的)으로 변화되는 자연의 섭리(攝理)는 그야말로 탄복스럽다. 봄 춘(春)의 구성은 해 일(日)과 초목이 싹틀 둔(芚→屯)자가 합(合)쳐져 ‘춘(春)’으로 전음 된 형성자이다. 그러니 춘(春)자는 해(日)가 초목의 싹(芽)을 틔우는(芚→屯) 절기인 봄(春)을 뜻한다. 성부인 둔(芚)자는 봄 춘(春)자의 본의를 담고 있다. 둔(芚)자는 풀 초부(艹部) 글자로 형부인 풀(艸=艹)과 성부인 진칠 둔(屯)으로 된 형성자(이다. 둔(芚)자는 풀(艹)이 진 친(屯) 듯 초목이 싹트.. 外來語---多國言語 2024. 8. 13. 화조월석(花朝月夕) 한자유래 화조월석(花朝月夕) 한자유래 ◎글자풀이: 꽃 화(花) 아침 조(朝) 달 월(月) 저녁 석(夕) ◎뜻풀이: 꽃이 피는 아침나절과 보름달이 떠오르는 초저녁이란 뜻이다. 경치가 좋은 시절인 봄과 가을 즉, 음력 2월 보름과 8월 보름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꽃 화(花)의 구성은 풀 초(艹)와 될 화(化)로 짜여 있다. 초(艹)는 풀 초(艸)의 간략형으로 무성하게 돋아난 풀을 뜻하는데, 두 개의 싹날 屮(철)로 구성되었다. 초(艹)가 다른 자형에 더해지면 초목과 관련한 뜻을 지니게 된다. 소리요소로 쓰인 화(化)는 서 있는 사람을 측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사람 인(亻)과 비수 비(匕)로 짜여 있다. 비(匕)에 대해 허신(許愼)은 "설문(說文)"에서 “비(匕)는 서로 더불어 나란히 늘어서다는 뜻이다. 인(人)이 .. 外來語---多國言語 2024. 8. 12.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