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심설3 이지李贄-분서焚書 <동심설童心說> PHILOSOPHY焚書 이지李贄-분서焚書 팔보 용동산농(龍洞山農)은 (西廂記)의 서문 말미에서 “식자(識者)들은 내가 아직 동심(童心)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하지 않길 바란다”[1]고 말했다. 그러나 동심은 ‘참된 마음’[眞心][2]이다. 만약 동심이 있으면 안된다고 하면, 이는 참된 마음이 있으면 안된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동심이란 거짓없고 순수하고 참된 것으로, 최초 일념(一念)의 ‘본심’(本心)이다. 동심을 잃으면 참된 마음을 잃는 것이며, 참된 마음을 잃으면 ‘참된 사람’[眞人]을 잃는 것이다. 사람이 참되지 않으면 최초의 본심은 더 이상 전혀 있지 않게 된다. 아이는 사람의 처음이요, 동심은 마음의 처음이다. 마음의 처음을 어찌 잃을 수 있으리오! 그런데 어떻게 동심을 갑자기 잃게 될까?.. 硏究篇---綜合文學 2023. 5. 14. 이지李贄-분서焚書 동심설童心說 PHILOSOPHY焚書 이지李贄-분서焚書 동심설童心說 팔보 동심설童心說 용동산농(龍洞山農)은 《서상기西廂記》의 서문 말미에서 “식자(識者)들은 내가 아직 동심(童心)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하지 않길 바란다”[1]고 말했다. 그러나 동심은 ‘참된 마음’[眞心][2]이다. 만약 동심이 있으면 안된다고 하면, 이는 참된 마음이 있으면 안된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동심이란 거짓없고 순수하고 참된 것으로, 최초 일념(一念)의 ‘본심’(本心)이다. 동심을 잃으면 참된 마음을 잃는 것이며, 참된 마음을 잃으면 ‘참된 사람’[眞人]을 잃는 것이다. 사람이 참되지 않으면 최초의 본심은 더 이상 전혀 있지 않게 된다. 아이는 사람의 처음이요, 동심은 마음의 처음이다. 마음의 처음을 어찌 잃을 수 있으리오! 그런데 어.. 硏究篇---綜合文學 2023. 4. 14. 이지李贄-분서焚書 주서암에게 답하다答周西巖 PHILOSOPHY焚書 이지李贄-분서焚書 주서암에게 답하다答周西巖 팔보 주서암에게 답하다答周西巖 이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진리를 깨달을 수 있는 능력1을 갖추지 않은 사람은 하나도 없고, 진리를 깨달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않은 사물 또한 하나도 없다. 그런데 언제나 진리를 깨달을 수 있지만 다만 스스로 그 사실을 알지 못할 뿐이다. 그렇지만 또한 그들에게 이 사실을 알려줄 수 없는 것도 아니다. 오직 흙․나무․기와․돌 등의 사물에게 자신이 태어나면서부터 진리를 깨달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줄 수 없는 이유는 그것들이 무생물이기 때문에 말해주기가 어렵다. 그리고 현명한 사람, 지혜로운 사람, 어리석은 사람, 모자란 사람처럼 사람에게 이 사실을 알게 할 수 없는 이유는 생명 있는 중생.. 硏究篇---綜合文學 2023. 3. 21.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