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유래2 화조월석(花朝月夕) 한자유래 화조월석(花朝月夕) 한자유래 ◎글자풀이: 꽃 화(花) 아침 조(朝) 달 월(月) 저녁 석(夕) ◎뜻풀이: 꽃이 피는 아침나절과 보름달이 떠오르는 초저녁이란 뜻이다. 경치가 좋은 시절인 봄과 가을 즉, 음력 2월 보름과 8월 보름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꽃 화(花)의 구성은 풀 초(艹)와 될 화(化)로 짜여 있다. 초(艹)는 풀 초(艸)의 간략형으로 무성하게 돋아난 풀을 뜻하는데, 두 개의 싹날 屮(철)로 구성되었다. 초(艹)가 다른 자형에 더해지면 초목과 관련한 뜻을 지니게 된다. 소리요소로 쓰인 화(化)는 서 있는 사람을 측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사람 인(亻)과 비수 비(匕)로 짜여 있다. 비(匕)에 대해 허신(許愼)은 "설문(說文)"에서 “비(匕)는 서로 더불어 나란히 늘어서다는 뜻이다. 인(人)이 .. 外來語---多國言語 2024. 8. 12. 입춘대길(立春大吉) 한자 유래 입춘대길(立春大吉) 한자 유래 ◎글자풀이: 설 입(立) 봄 춘(春) 큰 대(大) 길할 길(吉) ◎뜻풀이: 입춘(立春)을 맞이하여 길운(吉運)을 기원(祈願)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이다. 설 입(立)자는 땅(一)위에 팔과 다리를 벌리고 서있는 사람(大) 꼴을 본뜬 회의자(會意字)로 사람이 땅 위에 '서다(立)'라는 뜻의 글자이다. 입(立)자는 서다라는 의미에서 '세우다'라는 뜻뿐만 아니라 인격의 확립 및 사리가 정립된다는 따위로 의미가 발전하였다. 또한 사람의 자세 중에서 서있는 자세는 다른 행동으로 바로 바꿀 수 있으므로 '곧' '즉시'의 뜻으로 발전되었다. 이렇듯 입(立)자는 사람이나 물건이 "세워진 채 움직이는 동작, 상태"에 대한 의미가 스며있다. 한편 입(立)자는 양을 헤아리는 단위.. 外來語---多國言語 2024. 4. 23.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