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상문화12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4-중화中華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4-중화中華 김택규 중화中華 ‘중화’는 ‘중국’과 ‘화하’를 결합한 약칭이다. ‘화華’는 ‘화花’와 같고 문화의 찬란함을 비유적으로 가리킨다. 화하의 선조는 황하 중하류에 나라를 세우고 스스로 천하의 한가운데에서 발달된 문화를 누리며 살아간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스스로 ‘중화’라고 칭했다. 나중에 화하족 중심의 다민족국가가 부단히 확장되면서 관할 영토를 다 ‘중화’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리고 근현대 역사에서 ‘중화’는 중국, 중국인, 중국 문화를 가리키는 일종의 기호이다. 예) 중화는 곧 중국이다. 직접 왕도의 교화를 받아 자연스레 중국에 속하게 되었는데 복장은 엄숙하고, 풍속은 효도와 우애를 중시하고, 처세는 예의를 추구하니, 그래서 중화라고 부른다. 中華者, ..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8.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2-흥관군원興觀群怨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2-흥관군원興觀群怨 김택규 흥관군원興觀群怨 공자가 제시한 《시경》의 4가지 주요 기능으로 문학의 기본 기능과 가치에 대한 고도의 개괄이기도 하다. ‘흥’은 작품 감상 과정에서 연상을 일으킴으로써 사회와 인생에 대한 감상자의 사고와 흥취를 자극해 끌어올리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관’은 작품을 통해 자연과 사회, 인생의 각종 상황들을 인식하고 정치의 득실을 꿰뚫어보게 하는 것이다. 이어서 ‘군’은 작품을 놓고서 다른 사람과 논의하여 사상, 감정을 교류하게 하는 것이며, ‘원’은 사회 상황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여 마음속 감정을 털어놓게 하는 것이다. 이 4가지 기능은 내적으로 연결돼 있으며 문학의 미학적 기능, 인식적 기능, 교육적 기능과 관련이 있다. 후대의 학자들..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6.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1-무위無爲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1-무위無爲 김택규 무위無爲 ‘위爲’의 어떤 상태. 도가는 ‘유위有爲’와 ‘무위’를 대립시켰다. 이른바 ‘유위’는 일반적으로 통치자가 자신의 의지를 타인이나 세상에 강제하여 만물의 본성을 존중하지 않거나 그것에 순응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무위’의 의미는 이와 정반대로서 3가지 요점을 포함한다. 첫째, 권력이 자기절제의 방식으로 간섭의 욕망을 억제하는 것이다. 둘째, 만물이나 백성의 본성에 순응하는 것이다. 셋째, 만물이나 백성의 자주성을 발휘하게 하는 것이다. ‘무위’는 결코 행동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더 지혜로운 행동의 방식이다. 무위를 통해 어떤 행동의 결과에도 다 이를 수 있다. 예) 성인은 무위의 방식으로 세상일을 처리하고 무언의 방식으로 백성을 가르..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5.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0-위정이덕爲政以德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10-위정이덕爲政以德 김택규 위정이덕爲政以德 도덕적 원칙으로 국정을 관장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말한다. 공자는 서주의 통치자들이 줄곧 계승했던, “덕을 밝히고 벌은 신중히 가한다”(明德愼罰)는 원칙을 기초로 후대 유가가 신봉한 ‘덕정德政’의 이념을 제시했다. ‘덕정’은 ‘위력과 형벌’(威刑)과 대립된다. 그러나 ‘위정이덕’은 결코 형법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에 대한 도덕의 결정적인 작용을 강조하고 도덕적 교화가 치국의 근본 원칙이자 방법이라고 주장하는 것일 뿐이다. 예) 도덕적 교화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마치 북극성이 하늘의 일정한 방향에 있고 뭇별이 그 주위를 도는 것과 같다. 爲政以德, 譬如北辰居其所, 而衆星共之. (《논어·위정爲政》) 문명文明 사회..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4.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9-시언지詩言志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9-시언지詩言志 김택규 시언지詩言志 시는 작가의 마음속 뜻을 표현한다. ‘지’는 시에 표현된 작가의 마음속 지향, 생각, 감정적 요소를 가리킨다. 유가 경전인 《상서·요전》에서 제일 먼저 출현한 ‘시언지’는 중국 시론 ‘최초의 강령’(주쯔칭朱自淸)으로서 역대 시론가들의 해석을 거치며 내포 의미가 계속 풍부해졌고 그럼으로써 문학의 특징에 관한 중국 비평의 기본 관념을 확립했다. 예) 시詩는 마음속 뜻을 표현하는 것이고 가歌는 말로 노래 부르는 것이다. 詩言志, 歌永言. (《상서·요전堯典》) 시는 마음속 뜻에서 생겨나는데 마음속 뜻에서 형성된 말이 시이다. 詩者, 志之所之也, 在心爲志, 發言爲詩. (《시대서》) 시연정詩緣情 시는 시인의 마음속 감정에서 연유한다. 서진의..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3.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8-사직社稷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8-사직社稷 김택규 사직社稷 고대의 제왕, 제후가 제사를 지냈던 토지의 신과 오곡의 신이다. ‘사’는 토지의 신이고 ‘직’은 오곡의 신이다. 토지의 신과 오곡의 신은 농업을 근본으로 삼았던 한족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원시 숭배물이다. 고대의 군주는 나라의 태평과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기 위해 매년 토지의 신과 오곡의 신에게 제사를 올렸다. 그래서 ‘사직’은 국가와 정권의 상징이 되었다. 예) 천자는 왜 토지의 신과 오곡의 신을 숭배하는가? 천하의 백성들이 신에게 복을 빌고 신의 공덕에 보답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토지가 없으면 사람이 생존할 수 없고 오곡이 없으면 사람이 먹을 것이 없다. 그리고 토지가 넓어서 모두가 공경할 수 없고 오곡이 많아서 모두가 제사지낼 수 ..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2.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7-취趣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7-취趣 김택규 취趣 문예 작품에서 표현되는 작가의 흥취, 정취 등을 가리킨다. 작가의 ‘취’는 자연과 인생에 대한 작가의 독특한 체험과 이해 그리고 작품의 주제에 대한 선택과 작품의 표현 스타일을 결정한다. ‘취’는 작품 속 무형의 정신적 여운으로서 심미 활동을 통해 그것의 가치와 품격의 고하가 구현된다. 예) 혜강은 현묘한 이치를 잘 이야기했고 글쓰기에도 능했는데 정취가 고상하고 우아하면서도 솔직하고 심원했다. (嵇)康善談理, 又能屬文, 其高情遠趣, 率然玄遠. (《진서晋書·혜강전》) 세상 사람들이 깨닫기 힘든 것은 오직 ‘취’뿐이다. ‘취’는 산의 색깔, 물의 맛, 꽃의 광채, 여인의 자태에 비견되며 말 잘하는 사람도 한 마디로 분명하게 말할 수 없고 오직 마음..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21.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6-육의六義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6-육의六義 김택규 육의六義 한나라 때 학자들은 국가 통치와 사회 교화의 관점에서 《시경》이 가진 6가지 의의를 정리했다. 풍風은 성현의 사상이 백성의 풍속에 끼치는 교화 작용을 밝히는 것이고, 부賦는 정치의 선악을 직접적으로 서술하는 것이고, 비比 비유의 방식으로 완곡하게 정치의 부족함을 비판하는 것이고, 흥興은 다른 아름다운 사물을 빌려 선행을 고취하는 것이고, 아雅는 왕도를 선양해 후대의 준칙으로 삼는 것이고, 송頌은 미덕을 찬송하고 널리 알리는 것이라고 했다. ‘육의’는 본래 유가가 《시경》의 창작 수법을 밝히기 위해 사용한 용어인데 훗날 그것으로 시의 모든 창작 방식과 문학 비평의 기본 원칙을 설명하게 되었다. 예) 풍은 백성의 풍속에 남아 있는 성현의 치..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19.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5-과거科擧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5-과거科擧 김택규 과거科擧 과목을 나눠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던 제도. 수 문제는 중국을 통일한 후, 문벌과 등급 위주로 관리를 뽑던 제도를 폐지했다. 그리고 수 양제 대업大業 원년(서기 605년)에 정식으로 과거가 열렸다. 역대의 과거는 시험 과목, 내용, 임용 규칙에 다 변화가 있었다. 각 과목 중 진사과進士科가 가장 어려웠고 또 가장 사인들의 중시를 받았다. 원, 명 이후에 시험 문제는 《사서》, 《오경》의 문구에서 출제되었으며 답은 팔고문八股文 형식의 글로 《사서집주》 등을 근거로 삼아 써야 했다. 1905년 광서제光緖帝가 조서를 내려 과거를 폐지했다. 과거제는 귀족정치에서 관료정치로의 전환을 촉진하였고, 동시에 교육, 관리 선발, 시험, 사회 계층화, ..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18.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4-강산江山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4-강산江山 김택규 강산江山 본래 의미는 강과 산이며 국가의 정권과 영토를 대표한다(‘하산河山’도 같은 뜻이다). 이 용법은 다음과 같은 관념을 품고 있다. 즉, 강과 산은 지형이 험준하여 국가의 안전과 정권의 안정을 수호하는 자연적인 보호 장벽이며 영토는 국가의 구성 요소라는 것이다. 예) 무력으로 한 지역을 차지해 정권을 수립하고 방대한 영토를 개척했다. 割據江山, 拓土萬里. (《삼국지三國志·오서吳書·하소전賀劭傳》) 교화敎化 교육과 감화를 가리킨다. 중국 고대의 중요한 정치 이념이자 치국의 방법이었다. 당국은 보통 행정 명령, 도덕 교육, 환경적인 영향력, 통속적 읽을거리의 전파, 과거 시험 등 유무형의 여러 수단을 종합적으로 운용하여 주류적 가치관을 은연중에 ..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17.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3-회원이덕懷遠以德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3-회원이덕懷遠以德 김택규 회원이덕懷遠以德 은혜와 인덕으로 먼 지역의 부족, 백성 등을 위로하고 회유하는 것을 가리킨다. 역대 화하족 정권이 다른 민족과, 직접적인 통치 범위 안에 있지 않은 부족 및 외국과의 관계를 처리한 정치 이념이다. 중국은 다민족 국가였으며 화하족을 주체로 하는 정권은 스스로 대국이자 문화가 발달했다고 생각해 중국 문화에 속하지 않는 먼 곳의 부족과 백성 등에 대하여 보통 무력을 쓰기보다는 유가의 ‘인덕仁德’에 부합하는 유화적 수단으로 귀순시키려 했다. 예) 관중이 제 환공桓公에게 말하길, “신이 듣건대 아직 귀순하지 않은 제후는 예로 복종시키고 먼 지역의 부족과 백성은 덕으로 위로하라고 했습니다. 덕과 예를 어기지 않으면 귀순하지 않는 자가..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16.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2-풍아송風雅頌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中國思想文化術語詞典 2-풍아송風雅頌 김택규 풍아송風雅頌 《시경》에서 체재와 음악에 의거해 시를 분류하는 유형이다. ‘풍’(국풍國風)은 여러 지역의 지방 음악으로 대부분 민가이고, ‘아’는 궁정 연회나 조회 때 쓰던 가곡으로서 ‘대아大雅’와 ‘소아小雅’로 나뉘며 대부분 귀족 문인들의 작품이다. 그리고 ‘송’은 종묘 제례 때 쓰던 무곡舞曲의 가사이다. 그래서 ‘풍아송’은 《시경》의 체재이며 동시에 고아高雅하고 순정純正한 함의를 갖고 있다. ‘풍아’는 나중에 전아하고 고아한 사물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예) 그래서 《시경》에는 6가지 기본 내용이 있다. 바로 풍, 부賦, 비比, 흥興, 아, 송이다. 故《詩》有六義焉: 一曰風, 二曰賦, 三曰比, 四曰興, 五曰雅, 六曰頌. (《시대서詩大序》 .. 硏究篇---綜合文學 2023. 2. 15.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