硏究篇---綜合文學

중국당대문학中國當代文學 문학의 대통일시대

一字師 2023. 7. 27.
반응형

중국당대문학中國當代文學 문학의 대통일시대

 

 

                                                                                          图片来源 | 红旗谱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에 4 년에 걸친 긴 해방전쟁이 발발했는데, 이 때문에 중국의 당대문학當代文學의 발단은 일반적으로 1949년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 발전 과정은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문학의 대통일시대大統一時代(1949년-1978년)과 문학의 다원공생시대多元共生時代(1979년- )이다.

 

제 1 단계는 주기가 비교적 길지만, 그 중에는 문학과 직접 관계가 있는 몇 차례의 정치 폭풍과 사회적 동요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로 인하여 예술 고찰을 진행하는 문학 현상이 그렇게 풍부하게 제공되지 않았다.

 

제 2 단계는 사회가 상대적으로 평온하게 발전한 역사시기에 처해 있어서, 문학의 생존 환경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개방하여 각종 사조와 유파가 혼잡하게 잇달아 드러나고, 각종 문학의 현상층이 풍부하게 나와 문단에 활기가 충만했는데, 그것이 당대문학의 중요한 단계로 문학의 대통일시대이다.

 

이 단계의 특징은 문학적 의식의 형태화인데, 문학이 정치적으로 봉사를 자각하여, 문학적 가치의 취향과 정치적 가치의 취향이 한 유형으로 몰려서, 정치적으로 뻗어나가게 되었는데, 문학이 공구工具와 무기가 된 것이다. 당대當代의 서방문학의 조류와는 기본적으로 차단되었다.

 

이것과 상관있는 것으로는 창작 방법이 단일해진 것이다. 현실주의는 중국에서 혁명현실주의로 불리는데, 혁명이상주의가 혁명낭만주의의 핵심이 되어, 두 가지를 결합한 창작 방법이 출현되었다.

 

문화대혁명시기에 이르자, 현실주의의 근본정신은 이미 자취를 감추고, 변질된 일종의 위고전주의僞古典主義가 되었다.

 

미학美學을 추구하는데, 이 시기의 문학에서는 숭고崇高를 강조했다. 몇 가지 대표성이 있는 작품으로 예를 들면, 『홍암紅岩』,『홍일紅日』,『홍기보紅旗譜』와 『창업사創業史』로 보건대, 모두 국가, 민족과 인민의 이익으로 주인공을 삼아 각종 상상하기 어려운 육체와 정신상의 고통을 이겨내는 것을 표현했는데, 그들의 경력은 모두 하늘이 대임을 내리기 전에 지옥과 같은 곳에서 단련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인격과 도덕적 행위의 강대한 위력으로 심미주체가 장엄하고 흠모하며 심령의 진동을 일으키게 했다. 인물을 역조하는 데에 개인을 영웅화시키는 영웅의 신화神化 추세는 몇 개의 양판희樣板戱(혁명모범극을 말하는데, 문화대혁명 기간 중 모범극으로 지정된 팔대현대극, 즉 경극京劇 『지취위호산智取威虎山』,『해향海港』,『홍등기紅燈記』,『사가빈沙家濱』,『기습백호단奇襲白虎團』,『용강송龍江頌』과 발레극『홍색낭자군紅色娘子軍』,『백모녀』를 가리킴)로 표현되었다.

 

이상의 여러 가지 원인 때문에, 당대중국문학當代中國文學은 모든 세계문학 및 인문정신의 대 배경에서 이탈해 나와서 상당한 정도로 전통문화의 혈맥을 단절시켰는데, 고도로 폐쇄된 상태에서 자급자족하며 오랜 기간 발전하고 변화했다.

 

50년대를 시작으로 구미문학은 기본적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되고, 오직 소비에트 사회주의문학이 숭배를 받아, 소련문학은 중국 인민의 생활교과서이자 중국작가의 문학교과서가 되었다.

 

소련문학의 해빙사조解氷思潮가 중국작가를 격발시켜 생활에 관여했는데, 인도주의의 용기를 표현하여 나중에 수입된『중방적선화重放的鮮花』의 작품에 나타났다.

 

60년대 이후에 소련문학은 수정주의문예로 간주되어 근 20년 동안 비판을 받아서 중국문학은 거의 세상과 동떨어진 문학이 되고 말았다.

 

그러나 수억의 인구를 가진 대국에서, 대중은 예술 문화생활에 대해 갈망하고, 전통문학이 준 혜택, 민간문학의 회합 촉진하는 분위기가 문학가로 하여금 한계가 있는 생존 환경과 예술 공간에서 충분히 예술적 개성과 가지고 있는 수준을 발휘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당대중국문학의 앞 30년은 여전히 성과가 있으므로 소홀할 수 없는데, 소수 작품은 20 C의 중국문학의 역정에서 대체할 수 없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국통구國統區의 문예운동과 문예사상의 논쟁(3): 모순茅盾의 『부식腐蝕』

모순茅盾는 걸출한 혁명작가로 간주되는데, 그는 그의 필봉筆鋒을 곧장 국민당의 반동 정치를 가리키며 그들의 반공투항反共投降하려는 음모를 들추어냈는데, 민족독립과 민주자유를 위한 투쟁에 꾸준히 노력하여 창작에서 현저한 성과를 취득했다.

 

그는 항전시기에 잇따라 장편소설 『제일단계의 고사』,『부식』과 『상엽홍사이월화霜葉紅似二月花』와 극본 『청명전후淸明前後』를 창작하고, 또 단편소설집 『위굴委屈』, 산문집『포화砲火의 세례洗禮』,『견문잡기見聞雜記』,『시간의 기록』, 칼럼집 『생활의 한페이지』와 『겁후습유劫後拾遺』 등을 썼다.

 

『부식』은 1941년에 썼는데, 홍콩에서 『대중생활』에 연재하였다. 그것은 환남사변皖南事變으로 역사적 배경을 삼아 작가가 『자야子夜』이후의 계속해서 쓴 역작이다.

 

당시 일군日軍은 주로 병력을 해방구解放區의 공격에 집중시켜, 후방의 중경重慶으로 도망친 장개석蔣介石 반동파에게 정치적 투항을 유도를 실행했다.

 

장개석 집단은 항일 역량에 심한 손상을 주고, 왕위汪僞와 결탁하여 적극적으로 매국적 투항을 준비했는데, 그리하여 계교를 만들어 참혹하기 그지없는 환남사변을 일으켰다.

 

모순은 『부식』을 통하여 신속하게 국민당 반동파의 매국적 투항의 극에 달한 죄행을 세상에 공개하고, 당시의 정치 투쟁에 호응했는데 중대한 현실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국통구國統區의 문예운동과 문예사상의 논쟁(2): 곽말약郭沫若 등의 역사극

1941년 환남사변晥南事變의 발생을 전후하여, 국민당 반동파는 항일抗日에는 소극적으로 나오고 반공반인민反共反人民 정책에는 적극적으로 나섰다.

 

국통구國統區의 진보적인 문예운동은 비록 갈수록 심한 박해를 받았지만, 시종 굽히지 않고 투쟁을 견지했다. 반동파에서 서적과 신문의 간행물에 엄격한 검사를 했기 때문에, 대체로 현실 문제를 다룬 작품은 출판과 상연이 어려웠다.

 

원래 항전抗戰의 전방前方에서 연극운동에 종사하던 문예활동가도 엄중한 압제와 저지와 박해를 받게 되자, 잇따라 후방에 있는 대도시로 옮겨 갔다.

 

당시 일본제국주의의 봉쇄로 외국에서 만든 영화를 찍은 필름은 모두 수입하기가 어려웠는데, 극장에는 상연할 신 작품이 부족하게 되자, 주은래周恩來는 이 기회를 잡아 “화극話劇을 돌파구로 이용”하여, 진보적인 극작가, 배우와 감독을 널리 단결시켜서 화극 연출의 붐을 일으켰다.

 

양한생陽翰笙은 『국통구의 진보적인 연극과 영화운동』에서 이렇게 말했다.

 

“국민당의 이런 반동정책에 견주어서, 우리는 목표를 전환시키는 작업을 시작했는데, 융통성 있고 또 주동적으로 후방後方의 대도시의 연극 운동을 조직시키고 영도하려고 합니다. 이렇게 하여 차례로 많은 직업적인 극단이 성립되었고, 또 모든 국민당 정부의 기관이 통제하던 극단을 장악하여 성대한 규모로 많이 연출(대도시에서 반년 동안 3,40 개의 중국공산당을 연출)하여 반동파에게 유력한 반격을 가했습니다!”

 

이런 연극 중에는 당시의 암흑적인 통치를 폭로하거나 규탄했는데, 예를 들면 『무중경霧重慶』과『법서사세균法西斯細菌』 등이 있고, 어떤 것은 역사극의 형식을 빌려서 국민당이 抗戰을 손상시키고, 반동적인 음모로 단결을 파괴한 것을 『굴원屈原』,『호부虎符』와『천국춘추天國春秋』등으로 비난했다.

 

지나간 역사를 빌려 현실의 흑암黑暗을 폭로했는데, 이것은 환경의 핍박에서 나온 것으로 정치 투쟁을 더욱 유효하게 전개하기 위해서였다.

 

이 방면으로는 곽말약郭沫若이 가장 대표성이 있는 걸ㅊ출한 역사극 작가이다. 그는 차례로 개작하고 새로 창작한 역사극으로 모두 6 종種이 있는데, 그 중에서 『당체지화棠棣之花』,『굴원』,『호부』와『고점리高漸離』는 모두 전국시대戰國時代에 합종合縱하여 진秦나라에 항거한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 역사 사실에서 취재한 것이다.

 

이 네 개의 극본에서, 단결하여 적을 막고 분열을 반대하는 것을 주장하고 친진파親秦派의 투쟁에 진보적인 역량이 투항해 줄 것을 돌출하게 반영했다. 또 열정적으로 투쟁 중에 그런 인자하며 지조 있는 사람과 애국자를 찬양하고, 동시에 명확하게 작가가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에 반대하는 것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국민당 반동파가 매국한 것을 폭로하고, 인민이 단결하여 투쟁하는 전투 정신을 격려했다.

 

그래서 이런 극본은 인민을 교육시키고 적에게 타격을 가하는 힘있는 무기가 되었다. 모순茅盾은 힘을 주어 지적했다.

 

“환남사변晥南事變 이후에 『굴원』을 연출하여 열렬한 반향을 일으켜 당시에 정치적으로 현저한 작용을 일으켰다.”

 

양한생은 1902년에 사천四川에서 출생한 중국의 현대연극운동의 영도자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이 시기에 극작을 완성하여 강렬한 민족의식을 표현하여 당시의 정치 투쟁에 긴밀하게 보조를 맞추었다.

 

그는 『이수성李秀成의 죽음』,『새상풍운塞上風雲』,『천국춘추』와 『초망영웅草莽英雄』 등의 극작을 연속적으로 썼다.

 

『이수성李秀成의 죽음』은 1937년에 쓴 장편역사극으로 극 중의 주요 묘사는 태평군장령太平軍將領 이수성이 경도京都에서 군민軍民이 피투성이가 되어 분투한 고사를 쓴 것이다.

 

그것은 이수성이 용맹하게 적에게 항거하여 의지가 결연하게 죽어도 굽히지 않은 숭고한 품성과 영웅적인 기개를 열렬하게 찬양했다.

 

그는 제국주의에 대해 엄정한 입장인데, 강렬한 민족적 원한과 아울러 정의를 위하여 희생되기 전의 낙관주의정신은 때마침 국민당 반동파의 매국적인 투항과 선명한 대비를 이루었다. 이수성은 희생되기 전에 크게 외쳤다.

 

“우리 중화민족 중에서 가장 우수한 인물이 반드시 신속하게 우리와 함께 하러 올 것입니다!”

 

여기에서 그는 혁명가는 끊임없이 죽임을 당할 것인데, 많은 사람이 쓰러지고 이어서 더 많은 사람이 선열들의 핏자국을 밟고 계속해서 전투에 전진할 것이고, 이와 동시에 작가는 국민당 반동파가 숭배하는 대 매국노의 하수인 증국번曾國藩, 이홍장李鴻章 등의 매국으로 번영을 구하고 혁명을 억압하고 인민을 해치는 죄행 등에 대해서도 엄정하게 견책하고 인정사정없이 폭로했다.

 

국통구國統區의 문예운동과 문예사상의 논쟁 (1)

1942년-1949년에 국통구國統區의 문예운동은 두 가지의 기간을 겪는데, 항일전쟁 후기後期와 해방전쟁 시기이다.

 

한 시기는 주은래周恩來가 영도하는 국통구의 진보적인 문예운동은 인민대중의 입장에 서서 인민혁명운동의 방향과 완전히 일치했다.

 

많은 작가들이 민주투쟁의 행렬에 투신하여, 허다한 민주적인 집회는 문예 강습회와 문예 좌담회의 방식을 통해 거행했는데, 많은 군중 운동 중에서 군중 스스로가 활보活報, 만화, 격려시 등의 전투성이 강렬한 작품을 창조하여 거대한 효과를 거두었다.

 

많은 작가가 투쟁하는 중에 시종 직장을 견지하여, 반동파의 압박과 박해를 받았다. 시인 문일다聞一多는 이 때문에 귀한 생명을 바쳤고, 작가 주자청朱自淸은 중병이 들었어도 죽을지언정 미국이 원조하는 밀가루를 받지 않았다.

 

진보문예운동이 발전하는 중에, 특별히 모택동이 연안延安의 문예 좌담회에서 제기한 『연안문예좌담회 강화講話』가 위대한 작용을 했다.

 

이 문건은 1943년 10월 10일에 연안에서 정식으로 전문全文으로 발표되었다. 같은 해 11월 11일에 중경重慶의 『신화일보新華日報』의 『강화講話』의 주요 의미를 근거로 논문『문화건설의 선결문제』를 발표했는데, 당의 문화건설의 방향을 정확하게 찬술하고, 문화가 인민대중을 위해 복무해야 한다는 것과 문화종사자의 사상과 감정이 인민대중과 하나가 되어야 할 것을 명확하게 제기했다.

 

해방구解放區의 시가詩歌 ②: 다른 작가의 시가

이 시기에 군중에게 광범한 영향을 끼친 시인으로는 완장경阮章竞, 전간田間, 장지민張志民 등이 더 있다.

 

그들의 작품은 모두 정도는 다르나 농촌의 첨예하고 복잡한 계급투쟁과 해방구 인민의 신생활을 반영했는데, 위대한 역사 연대가 전환하는데 진귀한 기록을 남겼다.

 

서사시의 대량 출현은 이 시기의 시가 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수확이었다. 저명한 서사시로는 ⌜권투圈套⌟,⌜장하수漳河水⌟(완장경 작), ⌜간차전赶車傳⌟(전간 작), ⌜왕구소고王九訴苦⌟, ⌜사불착死不着⌟(장지민 작) 등이 있는데, 모두 이 시기의 비교적 우수한 작품이다. [출처] |작성자 중국 문화 산책

반응형

댓글

💲 추천 글